http://www.zdnet.co.kr/news/digital/0,39030978,39171498,00.htm
삼성 "이젠 모바일 SNS"…'집시'와 협력 체결
[지디넷코리아]삼성전자가 차세대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시장에서 지분을 확대하기 위해 이 분야 전문 업체 집시(GyPSii)와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는 28일(현지시간) 집시와 다년 계약을 맺고 이 회사 솔루션과 데이터 센터 인프라 그리고 브랜드 권한을 사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조만간 출시할 터치 스크린 기반 스마트폰 옴니아에 집시를 사전 탑재해 세계 시장에 판매할 계획이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소재한 집시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바일 네트워킹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은 위치 관련 콘텐츠를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페이스북 등 다른 SNS와도 상호 교류할 수 있게 된다.
집시가 제공하는 기술은 심비안, 윈도모바일, 블랙베리 기기 등을 지원하며 애플 아이폰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삼성전자와 집시의 협력은 많은 기업들이 모바일 SNS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세계 최대 휴대폰 업체 노키아는 최근 모바일 SNS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Plaze를 인수했고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스은 이미 애플 앱스토어에서 잘나가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하고 있다.
삼성전자도 "휴대폰 시장에서 SNS와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제 주류"라며 집시와의 협력에 커다란 의미를 부여했다.
참고)
iPhone의 Top Apps 중에도 위치기반 SNS 서비스인 Loopt가 있습니다.
시연 동영상 : http://www.zdnet.co.kr/webtv/digital/0,39034168,39169696,00.htm
美, GPS 수요 큰 폭 신장세
□ 여행객들에게 필수품으로 자리매김
○ 최근 낯선 지역을 여행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GPS를 사용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 추세임.
- 일례로 뉴햄프셔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켄터키를 방문 중인데 애견이 갑자기 아프게 돼 GPS를 이용, 빠른 시간 내에 인근에 있는 수의사를 찾을 수 있어 애견을 살린 경우도 있음.
○ 이런 여행자들은 단순히 길을 찾는 것만이 아니라 교통정보·날씨정보·식당검색, 심지어 주유소의 기름값 검색 등에도 GPS를 사용하고 있음. Sprint사의 Scott Lane에 따르면, 현재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기본적인 휴대폰 서비스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고 함.
□ 휴대폰과 연결 폭발적 사용 예상
○ 한편 GPS 생산업체인 TomTom사의 Tom Murray에 의하면, 북미시장에서 GPS 단말기 판매는 2006년 250만 대에서 2007년도 1000만 대, 그리고 2008년도에는 2000만 대의 판매가 예상되고 있어 큰 폭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휴대용 GPS 단말기 증가와 더불어 현재 1억5000만 대의 휴대폰이 GPS칩을 장착하고 있고, 이것이 고속 무선인터넷 기술과 휴대폰 디스플레이 기술 향상 등과 맞물려 소비자가 원할 경우 언제라도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됨.
□ 소프트웨어의 지속적 개발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
○ 현재 다수의 소프트웨어 개발회사들이 공격적으로 휴대폰 사업자들에게 GPS 서비스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는데, uLocate사의 경우 자사의 Where.com을 통해 공항위치 정보·항공기 출도착 정보·주유소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 중이며, 전문가에 따르면 휴대폰 GPS 서비스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 온라인 지도와 내비게이션 콘텐츠 개발사인 Naveq사의 Lonnie Arima에 의하면,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 인터넷 웹브우저를 통해 야후나 구글에서 제공하는 지도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것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을 요하고 있으며 사업자에 따라 시스템이 다르고, 가격 또한 다양한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사생활 침해 등 논란의 소지 여전
○ GPS 시스템의 다양한 기술개발에도 GPS 본연의 목적 이외에 개인의 위치 추적 문제와 사생활 침해 문제 등 논쟁은 계속되고 있음.
□ GPS 서비스 주요 기능
○ Navigation
- 길 찾기 서비스가 대표적인 서비스임. 2007년 구글에서는 My Location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와,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Navteq사의 경우 보행자가 실시간으로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풍광이나 경치정보 등을 포함한 더 세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구글의 BreadCrumbz 서비스의 경우, 인공위성 사진정보나 다양한 사진 등을 길 찾기 서비스에 추가해 제공하고 있음.
○ Local Search
- GPS 단말기를 이용해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며, 인근 식당이나 주요 위치를 확인하거나 정보를 얻는 서비스임.
-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구글, Wikitude, SynchroSpot, Callacab 서비스 등이 있음.
○ Real Time Information
- GPS 단말기를 통한 실시간 교통정보, 날씨정보, 실시간 항공운항 정보, 인근 주유소 유류가격 비교 서비스 등을 제공함.
○ Social Networking
- GPS 단말기를 통해 가족이나 친구들의 위치 또는 이동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Loopt사가 대표적인 업체임.
- 다른 형태의 서비스로 'Pelago Personalizes a local search'라는 서비스는 친구들이 추천한 식당이나 바를 확인할 수 있어 낯선 곳에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음.
자료원 : USA TODAY, 무역관 자체자료 종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