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imsama.egloos.com/1813868
미래의 게임 개발 테크놀로지
미래의 게임 개발 테크놀로지 (Epic Games, Tim Sweeney)을 보고
위 원문의 아래 부분에 나오는 이야기 중에서 멀티 코어로 인해서 생산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프로그래밍언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미래 게임 개발에 대한 이야기니까 사실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함수형 언어라고 본문에서 언급된 것은 functional language라고 이야기하는 것으로 위키피디아의 글 을 한번 읽어 보면 도움이 됩니다. (c++은 imperative language에 속하죠~)
미래의 컴퓨티 환경의 키포인트인 멀티 코어에 맞추어서 개발을 해야 한다는게 요지인데 이 멀티 코어라는 것이 8개 이상 정도만 되면 기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도변하지 않을 수 없죠.
코어 수의 관점에서 보면 이제 CPU던 GPU던 예전의 집적 방식이 아니라 다이에 코어 수를 늘리는 방법이기 때문에 단가나 발열의 문제지 집적과관련된 한계의 문제는 아닙니다. 바꾸어서 이야기하면 코어 수를 늘리는 방법은 아마도(기술적으로는) 예전에 일년에 약 두 배씩 클럭 속도가 향상이 되던 것 보다훨씬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겁니다. 문제는 소프트웨어도 코어 수에 맞춰서 작성하지 않으면 속도 향상이 없다는 점입니다.
본문에도 나와 있듯이 C++로는 병렬 처리가 매우 어렵기때문에 이에 맞는 언어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요즘Erlang 보시는 분들도 주위에 꽤 되는 듯. 앞으로 UnrealScript가 어떻게 변경 될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
[중략]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