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2월 17일 화요일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 National Spacial Data Infrastruture)사업

MB정부가 선진일류국가 실현을 위한 193개 국정과제 중 하나로 꼽은 NSDI는 한마디로 ‘사이버 국토’를 창조하는 것이다. 지형, 건물, 도로, 지하시설물 등 모든 국토정보를 전자지도에 담고 표준화해 또 하나의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다. 이 국가공간정보인프라에는 지적·건축·도로·산림·농림·수계·지하시설물과 같은 위치 정보 뿐 아니라 도시·환경·통계와 같은 속성 정보도 담긴다. 위치와 정보가 결합된 4차원 세계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신도시를 건설할 때에도 현지답사와 측량을 거쳐 도시계획을 세우지 않아도 된다. 지형물과 토양정보까지 담긴 3차원 지도에서 도시 기본계획을 세운 뒤 현장으로 달려가 바로 공사를 할 수 있게 된다. 전자지도에서 지하시설물의 위치와 지반구조를 파악한 뒤 지하철 노선을 결정할 수도 있다.

국가공간정보인프라 구축사업은 국토해양부가 주도하고 있다. 국토부는 공간정보를 매개로 제조업과 IT(정보기술)산업을 융합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자동차와 ITS(지능형 교통시스템), 내비게이션을 결합해 신물류서비스산업을 창출하고, 도시건설과 무선통신, GPS(위성위치시스템)를 융합해 미래형 정보도시, u-City를 건설하는 한편 지도정보와 GPS, 통계정보를 결합해 LBS(위치기반서비스)산업을 일으켜 세운다는 청사진을 국토부는 마련했다.

국토부는 오는 2012년 국가공간정보인프라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현재 1조7000억원 규모인 관련 시장의 규모가 11조원대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약 20만 명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나 국가경제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국토부(한국토지정보시스템, 토이지용규제시스템, 연안관리시스템, 갯벌시스템)와 환경부(환경성평가지도, 생태자연도), 농림수산식품부(농지시스템), 산림청(산지시스템), 문화재청(문화재시스템)에 나뉘어 있는 각종 정보를 2011년까지 연계·통합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시장 활용성이 큰 3차원 지도는 수도권과 16개 도시지역을 올해 구축하고 2011년까지 나머지 지역의 정보를 모두 담아낼 계획이다. 또 2010년까지 토지정보와 전국 건물의 속성정보를 통합하고, 지하시설물 정보를 구축할 예정이다.

댓글 없음:

블로그 보관함